kbiz중소기업중앙회

‘ 내수 중소기업 ’ 의 검색결과는 총 469건 입니다.

지원사업 4

  • 1. 최근 반도체 등 수출에 힘입어 전체 수출이 증가하고, 더불어 내수경기가 기지개를 펴고 있으나 중소기업의 수출업체 비중은 2.5%(2015년도 기준)에 머무르고 있습니다. 2. 이에 따라 본회에서는 올해의 주요사업으로 내수중소기업의 수출기업화를 추진하고 있으니 관심 있으신 업체는 다음의 안내를 참고하여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. 다 음 가. 신청대상 ◦ 중소기업으로서 수출액이 없거나 직전년도 수출액이 100만불 이하인 기업중소기업으로서 직전년도 수출액이 100만불 이하로 매출액 중 수출비중이 50% 미만인 기업 나. 신청기간 : 2017. 5. 31(수) * 추후 연장 가능 다. 참가업체의 주요 참여사업 ◦ 전문무역상사 및 수출시장개척전문기업(GMD)와의 수출상담회 ◦ 본회 해외유력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라. 신청방법 : 본회 홈페이지(www.kbiz.o.k) 상단의 롤링 메뉴 『중소기업 수출기업화사업 참가신청』 또는 붙임의 『수출기업화사업참가신청 안내 이메일』을 클릭하여 참가신청서를 내려받아 작성후 메일로 송부 마. 신청처 : 중소기업중앙회 글로벌지원부(E-mail : global@kbiz.o.k, 팩스 : 02-3775-1981) 바. 문의처 : 중소기업중앙회 글로벌지원부 (02-2124-3180~1) 붙임 : 1. 수출기업화사업 참가신청 안내 이메일. 1부. 2. 수출기업화 참가신청안내 리플렛. 1부. 끝.

  • '민생구하기 입법촉구 천만 서명운동' 참여안내 중소기업인 여러분, 중소기업중앙회는 범경제계와 함께 “민생구하기 입법촉구 천만 서명운동”을 추진 중입니다. 경제활성화 법안은 산업경쟁력 업그레이드,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반이 됩니다. 경제활성화 법안이 국회에서 조속히 처리될 수 있도록 서명운동에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 ◈ 서명하기 http://www.kbiz.o.k/use/epot/sig I se.do * 중소기업중앙회 온라인서명 페이지로 연결됩니다. 아울러 주변에도 함께 동참하실 수 있도록 안내 부탁드립니다. 중소기업중앙회 본부(서울 여의도, DMC)와 전국 지역본부를 방문하셔도 서명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. 감사합니다. (참고) 경제활성화 법안 주요내용 및 기대효과 기업활력제고법 기업경쟁력 업그레이드 ‣ 기업이 과잉공급 등으로 사업재편과 인수합병시 상법, 공정거래법 등 규제와 세금문제를 한번에 해소해 제조업 체질개선과 내수산업 경쟁력 강화 *여야 합의로 국회 상임위 기 통과(1월 25일) 서비스산업발전법 최대 69만개 일자리 창출 ‣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와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정부가 정책수립과 추진체계 정비, 서비스산업 선진화위원회에서 점검 등으로 69만개 일자리 창출 노동개혁법 청년일자리 창출 ‣ 근로시간 단축, 55세 이상 고령자와 뿌리산업에 대한 파견허용업무 확대, 통상적 출퇴근 재해 산재보상, 실업급여 인상 등 사회안전망 확충 첨부 : 서명호소문 및 서명부 1부.

  • 공동사업지원자금 공동사업지원자금은 중소기업간 협업사업 촉진을 위해 중소기업중앙회가 조성하는 민간재원 입니다. 법적근거 상세보기 (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106조8항) 중소기업중앙회는 회원의 공동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동사업지원자금을 설치할 수 있다. (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106항8항1호) 공동사업지원자금은 다음 각 목의 재원으로 조성한다. 가. 회원의 출자금 또는 출연금 나. 기업의 출연금 다. 금융기관의 출연금 또는 차입금 라. 그 밖에 정관으로 정하는 수입금 (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106조8항2호) 공동사업지원자금은 다음 각 목의 사업을 위하여 사용하여야 한다. 가. 공동 기술 및 상표의 개발 사업 나. 공동 시험 연구 사업 다. 공동 구매, 판매 및 국내외 판로 개척 사업 라. 국내외 규격인증 획득 및 해외 조달 시장 진출 사업 마. 정보화 사업 바. 그 밖에 정관으로 정하는 사업 출연혜택 ① 지정기부금 손금 인정(법인세법 시행령 제39조제1항제2호 다목) ② 투자 상생 협력 촉진세제(조세특례제한법 제100조의 32, 제2호 비투자형) ③ 내국법인 출연금의 법인세 공제(조세특례제한법 제8조의3 제1항 제4호) 상세 예시보기 활용사업 사랑나눔재단 월 단위 정기 기부자 1. 공동구매 - 협동조합이 중소기업의 제품 생산ㆍ제작을 위한 원부자재를 공동구매 2. 공동판매 - 정부조달참여 등 조합원 생산제품을 협동조합을 통해 공동판매 3. 공동R&D - 협동조합 중심 업계에서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 4. 시험인증 - 제품 성능 인증 5. 공동마케팅 - 민간내수, 해외진출 등 협동조합 중심 공동브랜드 개발, 공동 마케팅 추진 6. 인력양성 - 업계 전문인력 교육 및 채용연계등 중소기업 필요 인력 확보 7. 정보화 - 공통 품목의 온라인 거래망, ERP구축 등 디지털 전환 사업 8. 공동물류 - 공동창고, 물류센터 건립, 물류서비스 개발 등 9. 단지조성 - 공동설비, 공동검사기기, 공동주차장 등을 갖춘 협동화단지 조성 추진경과 2006년 4월 중소기업협동조합법 개정을 통해 공동사업지원자금 설치 근거 마련 2019년 3월 제2차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('19-'22)계획 과제 반영- 재원 조달을 위한 인센티브 부여 방안 마련 2021년 12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을 통해 대기업 출연금에 대한 세제혜택 신설* * 조세특례제한법 제8조의3 제1항 제4호 신설 : 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따른 중소기업중앙회 공동사업지원자금에 출연 내국법인에 대해 출연금의 10% 법인세 공제 * 조세특례제한법 제100조의32 투자⋅상생협력 촉진세제 과세특례에 따른 절세효과 반영 2022년 3월 제3차 중소기업협동조합 활성화 3개년 ('22~'24)계획 과제 반영- 3년('22~'24)동안 1,000억원 조성 2022년 12월 공동사업지원자금 출연금 '지정기부금' 손금 인정(기재부고시)** 법인세법 시행령(제39조제1항제2호다목) 공익목적 기부금 범위에 '중소기업협동조합법 제106조제8항에 따른 중소기업중앙회 공동사업지원자금에 출연하는 기부금 반영 2023년 3월 중소기업중앙회 주요 사업과제로 추진- '23년 50억원 조성 → 4년 ('23~'26) 동안 1,000억원 조성 담당부서협업사업실 전화02 -2124 -3222 #post-btn:hover { color: #fff; background: #000; } .post-info { display: none; } .post-info>ul>li>span { font-weight: normal; display: inline-block; margin-top: 5px; font-size: 16px; } .block { display: block !important; } .text-bold { display: contents; font-weight: bold; } .tax-modal { position: fixed; padding-bottom: 30px; left: 50%; top: 50%; transform: translate(-50%, -50%); height: 720px; z-index: 9999; background: white; display: none; } .tax-modal .tax-title { font-size: 24px; font-weight: bold; color: #000; border-bottom: 1px solid #dddddd; padding: 30px 40px 30px; position: relative; } .tax-title .tax-ibox { position: absolute; cursor: pointer; top: 12px; right: 10px; width: 50px; height: 50px; background: url(/kor/pc/images/common/btn_modal_close.png) center no-repeat; background-size: 20px 20px; z-index: 100; } .tax-detail { height: 550px; overflow-y: scroll; padding: 0 40px; border-bottom: 1px solid #ddd; } .tax-detail>dl>dt { padding: 20px 0px 20px 0px; font-weight: bold; color: #000 } .tax-detail>dl>dd { font-size: 16px; } .tax-modal .tax-btn { border-top: 1px solid #dddddd; } (function () { // 법적근거 상세보기 var postBtn = document.querySelectorAll('.btn-box')[0]; var postInfo = document.querySelector('.post-info'); var count = 0; postBtn.addEventListener('click', function () { count++; console.log(count); if (count % 2 == 1) { console.log('추가'); postInfo.classList.add('block'); } else { console.log('빼기'); postInfo.classList.remove('block'); } }); // 출연혜택 팝업 var taxMod = document.querySelector('.tax-modal'); var taxPop = document.querySelectorAll('.btn-box')[1]; var taxClo = document.querySelector('.tax-ibox'); // var dimBox = document.querySelector('.dimmed'); var bodyFixed = document.querySelector('body'); taxPop.addEventListener('click', function (e) { e.stopPropagation(); taxMod.classList.add('block'); bodyFixed.classList.add('fixed'); // dimBox.classList.add('block'); $('.dimmed').show(); }); taxClo.addEventListener('click', function (e) { e.stopPropagation(); taxMod.classList.remove('block'); bodyFixed.classList.remove('fixed'); // dimBox.classList.remove('block'); $('.dimmed').hide(); }); })();

  • 수출컨소시엄 목적 품목ㆍ업종별 중소기업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외 타겟시장에 파견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및 수출촉진 도모 사업내용 사전준비 → 현지파견 → 사후관리 등의 사업단계별 공동 해외시장 개척활동지원 사전준비 바이어 사전 발굴ㆍ매칭비용, 해외마케팅ㆍ홍보비 및 컨텐츠 제작비 등 지원 현지파견 해외전시회 또는 수출상담회 참가시 필요한 임차비, 장치비 등의 경비 지원 사후관리 해외바이어 국내 초청 관련 비용, 바이어 신용조사비, 샘플발송비 등 지원 사전준비 바이어 사전 발굴, 해외마케팅 및 홍보 현지파견 해외전시회, 수출상담회 사후관리 해외바이어 국내초청 상담회 사업경과 2006년 수출컨소시엄 시범 도입 2008년 수출컨소시엄 도입ㆍ시행 2011년 무역촉진단 파견사업으로 편입 * 무역촉진단 : 해외전시회, 시장개척단, 수출컨소시엄으로 구성 2017년 무역촉진단 파견사업에서 분리 2019년 수출컨소시엄 사업 통합 개편 2020년 비대면 온라인 사업 도입(코로나19 영향으로 20-21년 한시운영) 기존, 로 구성된 표입니다. 기존 전시회파견 전시회 단체참가바우처 무역촉진단 수출컨소시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변경, 로 구성된 표입니다. 변경 수출컨소시엄 지원대상 「중소기업기본법」 제2조에 따른 국내 '중소기업' 수행주체 (주관단체) 업종별 중소기업 단체(조합, 협회 등), 민간전문기업 및 수출유관기관 등 관리기관 중소기업중앙회 추진절차 계획수립 및 공고 중소벤처기업부 주관단체 모집ㆍ선정 중소기업중앙회 참여기업 모집 주관단체 사업수행 주관단체 평가 및 사후관리 중소기업중앙회 지원성과 구분, 2019년, 2020년, 2021년, 2022년, 2023년(안), 지원예산(억원), 지원사업수(개), 참여기업수(개), 로 구성된 표입니다.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(안) 지원예산(억원) 190.5 155.5 103.9 141.1 141.1 지원사업수(개) 184 139 83 74 73 참여기업수(개) 3,072 3,472 1,602 1,204 1,343 공고문 및 신청서 다운로드 해외전시포털 홈페이지 바로가기 담당부서국제통상실 무역촉진팀 전화02 - 2124 - 3296

top

TOP